한국어 vs 영어
제 소개를 드리자면 저는 주말반에 강의를 듣고 있고 가족의 영어공부에 관심이 많은 프로그래머입니다. 제가 제목에 한국어 vs 영어란 이름을 붙인것은 영어와 한국어를 비교함으로써 우리가 좀 더 언어를 통해 세상을 보는 시야를 넓히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제가 직업이 프로그래머이다 보니 본의 아니게 원서도 보게되고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는 아니지만 프로그래밍언어도 다양하게 배우게되면서 저 나름의 견해가 생겨서 이를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글을 써봅니다. 동의하실 분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을 분도 계실 수있으나 저의 사견일뿐이므로 너그러히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최근의 프로그래밍의 세계에선 서구식 언어체계가 흔들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의 역사는 길게는 50여년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갑니다만 복잡한 논리적 세계를 추가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한 30여년 정도될까요? 그것이 중요한건 아니구요.. 이 분야가 서구인들의 의식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은 프로그래밍 언어란 것이 그들의 사고체계를 매우 논리적이고 문법적으로 완벽하게 설계한 것이란 점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에서 초기는 그들의 사고체계를 그대로 모델로 한 언어들이 등장하였습니다. 이른바 절차적 언어라 (procedural language) 하는 것들입니다. 이 언어들의 특징은 개발자의 입장(주어)에서 행위(동사)들을 나열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대상(목적어)들을 그 행위에 전달합니다. 100% 영어의 전개방식과 일치합니다. 그러나 이런 언어들의 문제점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그 문제점이란 것이 관점이 나(개발자)를 중심으로 하다 보니 어떤 거대한 것을 분석하여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프로그래밍의 세계에서 흔히들 또는 당연시 받아들이는 것이 Top-Down Analysis before Bottom-Up Construction입니다. 이 말의 의미가 뭔가하면 시스템 구축을 위해 현상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TD를 ...